미니멀라이프

미니멀라이프를 통한 공간의 분리

모니카14 2020. 8. 13. 16:23

전에 살던 집보다 집을 줄여나가고 자녀는 늘게되어 우리집은 언제나 물건으로 터질 것 같았다.

서재와 같은 거실을 만들기로 결심하고 책들이 빼곡하고 버리지 못한 옷가지들로 집안은 정말 발디딜 틈이 없었다.

아이들이 사달라고 해서 사고, 얻었는데 아까워 버리지 못한 장난감은 집안을 점령했다.

우리 가족이 편안하게 휴식하려고 산 집이 결국은 일터가 되고 스트레스 장소가 된 것이다.

 

나는 가족과 상의해 아이들과도 이야기를 나누어 과감히 아이들 장난감과 책, 그리고 옷들을 주변에 나누어주거나 다 버렸다. 그리고 나는 생각했다.

'우리집이 여행지 펜션처럼 변화할 수 없을까?'

이렇게 우리집은 변화했다.

사실 우리집 거실이 여느 미니멀라이프 가정처럼 깨끗하고 잘 정돈되고 완벽한 비움의 공간은 아니다.

그런데 우리는 거실에서 나는 홈트레이닝을 하고 아이들은 놀이를 하고 읽고 싶은 책을 바로 찾아 읽는 공간이다.

비가 내리는 날에는 아이가 바깥에 비를 보며 엄마와 이야기를 나누는 휴식의 공간이기도 하다.

 

나는 미니멀라이프를 시작한 이후 식사와 놀이와 휴식의 장소를 분리해 놓았다.

거실은 아이들과 오롯이 놀이를 하고 운동을 하고 책을 읽는 공간으로 사용하고 에너지를 소진하는 공간으로 사용하기로 했다.

식사는 주로 내가 요리를 하며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가장 가까운 장소로 선정하였다.

이렇게 식사장소와 놀이장소와 휴식장소를 분리하자 아이들은 돌아다니며 식사를 하거나 영상을 보며 식사를 하던 습관이 사라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음식을 차리고 정리하는 나의 입장에서도 음식하는 일이 수월해졌다.

아이들은 이렇게 식사를 약속한 장소에서 식사를 하고 이야기를 나누고 식사를 하거나 간식을 먹고 난 이후 스스로 먹은 그릇을 정리하고 놀이를 하러간다.

 

휴식의 장소를 정하고 비움을 시작한 이후로 아이들은 잠투정이 줄어들었고 수면의 질이 향상되었다.

휴식의 장소에서도 놀이를 하지만 주로 정적인 놀이를 하고 동화책을 보고 이야기를 나누는 정도이다.

독박육아를 하며 일을 하고, 재테크를 하고, 아이들의 집밥과 집안일을 어떻게 다 하냐고 묻는다면 나는 망설임 없이 해답을 말할 수 있다.

 

바로 "미니멀라이프다"라고